[고린도전/후서 강의] 고린도 전/후서의 구조, 배경, 설명, 기록연대, 저자, 특징 등

728x90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서신으로, 헬라어 원문에서는 "Πρώτη Επιστολή προς Κορινθίους"로 표기됩니다. 우리말로는 "고린도전서"라 불리며, 이는 바울이 고린도 지역에 있는 성도들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임을 나타냅니다.

저자와 수신자

고린도전서의 저자는 사도 바울입니다. 서신의 첫 구절에서 바울은 자신을 "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바울"이라고 소개합니다. 수신자는 고린도에 있는 교회로,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곧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받은 자들"입니다. 이 서신은 바울이 고린도 교회를 세운 후 그 교회를 양육하기 위해 기록한 편지입니다(행 18:1-11). 바울은 에베소에서 3차 전도여행 중에 이 편지를 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고전 16:8). 

 

기록 연대와 장소

고린도전서는 주후 54-55년경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사도행전 19장의 기록과 일치하며 바울이 에베소에서 약 3년간 사역하던 시기와 일치합니다(행 20:31). 고린도 교회의 여러 문제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기록 배경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설립한 후 약 18개월 동안 그곳에서 사역했습니다. 그 후 에베소로 떠났는데, 그곳에서 고린도 교회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교회 내의 분열, 성적 부도덕, 우상 제물 문제, 성찬식 남용, 영적 은사의 오용 등 다양한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또한 고린도 교회 성도들이 보낸 편지를 통해 여러 질문들을 받았습니다. 이에 바울은 이 서신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고 질문들에 답변하고자 했습니다. 고린도는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이방 종교와 부도덕한 관습이 혼재한 도시였습니다. 이로 인해 고린도 교회는 내부적으로 교리와 도덕적인 문제, 외부적으로 이교 문화와의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이 서신을 통해 성도들의 삶과 신앙을 바로잡고자 했습니다.

 

 

 

주요 주제와 구조

고린도전서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교회의 일치와 분열 문제 (1-4장) 바울은 교회의 분열을 경계하며,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일치를 강조합니다.

 

성적 부도덕과 교회 징계 (5-6장) 성적 부도덕한 자에 대한 징계와 성도의 도덕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혼과 독신에 관한 가르침 (7장) 결혼의 신성함과 독신의 장점을 설명하며, 각자의 부르심에 따라 살아가야 함을 가르칩니다.

 

우상 제물과 그리스도인의 자유 (8-10장) 우상 제물에 대한 신앙적 접근과 형제 사랑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예배와 성찬식에 관한 지침 (11장) 예배의 질서와 성찬식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영적 은사와 그 사용 (12-14장) 다양한 은사의 역할과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부활에 대한 가르침 (15장) 그리스도의 부활과 신자들의 부활에 대한 확신을 줍니다.

 

헌금과 결론 (16장)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과 개인적인 인사를 포함합니다.

주요 메시지

고린도전서의 핵심 메시지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복음과 일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교회 내의 여러 문제들을 다루면서, 모든 것의 기준이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여야 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3장에서는 유명한 '사랑의 장'을 통해 모든 은사와 행위의 기초가 사랑이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중요 구절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고전 13:1)

이 구절은 고린도전서의 핵심 메시지를 잘 요약하고 있습니다. 모든 영적 은사와 능력도 사랑 없이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고린도전서의 특징

교회 문제 해결 : 교회의 분열(1:10-13), 성적 부도덕(5:1-13), 우상숭배(8:1-13)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룹니다.

실제적 권면 : 믿음의 실천과 성도의 연합을 강조하며, 사랑과 은사의 바른 사용(고전 12-13장)을 중심으로 가르칩니다.

부활 신앙 : 고린도전서 15장은 부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도들에게 부활 신앙의 소망을 확증합니다.

문체와 구조 : 문제 제시 → 해답 및 권면 → 종결로 구성됩니다.

Key Verse (핵심구절)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시기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고전 13:4).

이 구절은 고린도전서의 중심 주제인 사랑의 본질과 실천적 가치를 나타냅니다.

 

고린도후서

고린도후서의 제목

고린도후서는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두 번째 서신으로, 헬라어 원문에서는 "Δευτέρα Επιστολή προς Κορινθίους"로 기록됩니다. 고린도전서 이후의 상황에 대한 바울의 심경과 권면이 담겨 있습니다.

저자와 수신자

고린도후서의 저자 역시 사도 바울입니다. 고린도 교회에 대한 그의 깊은 애정과 목회적 책임감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편지는 바울이 마케도니아에서 고린도 교회 상황에 대해 듣고 기록한 것입니다(고후 2:13). 수신자는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와 아가야 전역의 모든 성도들입니다.

기록 연대와 장소

고린도후서는 고린도전서를 보낸 지 약 6-18개월 후인 주후 55-56년경에 마게도냐에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린도전서 이후, 고린도 교회는 바울의 권면에 따라 여러 문제를 해결했으나, 일부 성도들은 여전히 바울의 사도직을 의심하고 도전했습니다. 

기록 배경

고린도전서를 보낸 후,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상황이 더 악화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일부 거짓 교사들이 바울의 사도권을 의심하고 그의 가르침을 비난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바울은 자신의 사도권을 변호하고, 고린도 교회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이 서신을 썼습니다. 린도 교회의 변화와 더불어 바울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기록되었습니다. 이 서신은 사도직의 정당성을 변호하고, 성도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고린도후서의 특징

사도직 변호: 바울은 자신의 사도직과 복음 전파의 정당성을 강조합니다(고후 3:1-6).

위로와 격려: 고난 중에도 하나님의 위로를 경험하며, 성도가 그 위로를 나눌 것을 가르칩니다(고후 1:3-7).

연보 권면: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을 독려하며, 연보의 영적 의미를 설명합니다(고후 8-9장).

성도의 삶: 약함 가운데서 강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선포하며, 성도의 영적 성숙을 권면합니다(고후 12:9-10).

주요 주제와 구조

고린도후서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울의 사역 변호 (1-7장) 자신의 고난과 하나님의 위로를 통해 진정한 사역자의 모습을 드러냅니다.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 권면 (8-9장) 다른 교회를 돕기 위한 헌금 모금을 권장하며, 기쁨으로 헌금할 것을 강조합니다.

바울의 사도권 변호 (10-13장) 자신의 사도를 변호하며, 거짓 교사들과 대조되는 진정한 사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주요 메시지

고린도후서의 핵심 메시지는 참된 사도직의 본질과 그리스도인의 삶에서의 고난의 의미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약함을 통해 나타나는 하나님의 능력을 강조하며, 그리스도를 위해 고난 받는 것이 영광스러운 일임을 가르칩니다.

중요 구절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하신지라 그러므로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고후 12:9)

 

이 구절은 고린도후서의 핵심 메시지를 잘 요약합니다. 인간의 약함을 통해 하나님의 능력이 온전히 나타난다는 역설적인 진리를 보여줍니다.

Key Verse (핵심구절)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고후 12:9).

이 말씀은 고린도후서의 핵심인 약함 속에서 드러나는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상징합니다.

결론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는 초대 교회가 직면한 실제적인 문제들을 다루면서, 동시에 깊은 신학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서신들은 오늘날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교회의 일치,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삶, 사랑의 중요성, 고난 속에서의 하나님의 은혜 등의 주제들은 현대 교회에도 적용될 수 있는 귀중한 교훈들입니다.

 

728x90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